코딩 공부
Android 안드로이드 인터뷰 문제 본문
www.youtube.com/watch?v=tQDEgTdDmKc&ab_channel=ACADGILD
이 비디오를 보면서 간단하게 요약해봤어요.
1. 안드로이드 구성요소는?
Activities - 화면을 나타내는 UI
Intents - 한 화면에서 다른화면으로 넘어가기 위한 액션이나 서비스 사용
Servies - 화면에 나타나지 않지만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됨 (예 - 다운로드 버튼 눌렀을때)
Boradcase Receiver - 백그라운드에서 이벤트 일어나는것을 기다리고 있는 친구 (예 - low battery popup). 이벤트가 일어났다면 개발자가 적어둔 코드대로 움직임 (예 - 노티피케이션 보내기)
Content Providers - 필요한 데이터 전송해주는 친구 (예 - contact는 연락처 정보를 저장해두는 기본 앱에게 새로운 앱이 설치되었을때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요청함, 요청한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친구)
2. 화면 (layout) 구성되는 순서
manifest.xml -> intent-filter -> Activity -> setContentView -> layout
3. Activity Life Cycle 이란?
A라는 앱을 실행시키면 onCreate() -> onStart() -> onResume() 순으로 UI가 나오게 됩니다. 만약에 A앱 실행중에 전화가 온다면 핸드폰 상단에 부분적으로 전화가 왔다고 나오게 됩니다. 그때 onPause()가 실행됩니다 (다른 기능이 실행되어서). 만약 그 전화를 받는다면 전화받는 화면으로 넘어가게되고 실행중인 앱은 멈추게 됩니다. 그때 onStop()이 실행됩니다. 전화를 끊으면 오른쪽 화살표인 onRestart() -> onstart() -> onResume() 순으로 다시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A앱에서 나올때 onStop()이 실행되고 onDestroy()가 이어서 실행됩니다. 만약 A앱에서 나오고 다른 앱을 사용하면서 메모리가 부족하다면 OS가 A앱을 종료시키고 다시 들어왔을때 onCreate()부터 시작이 됩니다.
4. 인텐트 (Intent) 란?
컴포넌트에서 다른 컴포넌트를 부를때 필요한 정보를 intent를 통해 전달합니다.
Start an activity - startActivity() -새로운 액티비티 UI로 실행시키기
Start a service - startService(), bindService() – 서비스 관련 실행
Develering a broadcast - broadcastIntent() – 브로드캐스팅 활용
Explicit Intent - 앱 안에 있는 activity를 부를 때 (예 - 앱 안에서 두번째 페이지로 넘어가기),
Implicity Intent - 앱 밖에 있는 activity를 부를 때 (예 - naver.com 열기)
5. Manifest.xml 파일은?
안드로이드 앱을 실행하기위해 필요한 것들이 명시되어 있는 파일입니다.
- 안드로이드 구성요소
- 앱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권한들
- 패키지 이름, 앱 이름
- SDK 최소/타겟 버전
'Technical Interview Prep'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개발할 때 사용하는 도구들 (Android SDK Tools) (0) | 2020.11.19 |
---|---|
안드로이드 액티비티 (Android Activity) 란? (0) | 2020.11.19 |
ENTITY FRAMEWORK 란? (0) | 2020.10.21 |
.NET FRAMEWORK 란? (0) | 2020.10.21 |